잡지식들

[잡지식] 분리수거하는 법을 알려주는 사이트

올록 2023. 2. 13. 11:01

최근 유튜브를 보다가 흥미로운 사이트가 있어 블로그에 글을 적는다.

 

바로 분리수거를 알려주는 사이트이다. 

 

https://blisgo.com

 

쓰레기 백과사전 | 모두를 위한 에코 라이프 가이드 | 분리 수고하셨습니다

쓰레기 백과사전. 친환경 생활이 생각보다 어렵다면 잘 버리는 일부터 시작하세요. 올바른 처리 방법, 정확한 분리 배출, 유용한 재활용 방법, 친환경적 대체 수단 검색.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

blisgo.com

 

 

나는 살면서 분리수거라는 것을 해본 적이 별로 없다.

학교 다닐 적 쓰레기통이 일반쓰레기와 플라스틱으로 나눠져 있었던 것이 내 분리수거의 첫 시작이었다.  분리수거는 군대에서 어느 정도 해봤지만 거의 다 자기 스스로의 판단하에 이건 이거고 저건 저거같이 주먹구구 식으로 대충대충 했던 것 같다. (모르겠으면 일반쓰레기에 그냥 버리라는 식)

 

누가 굳이 분리수거라는 것을 찾아서 공부를 하겠는가. 

적어도 나는 분리수거라는 것에 대해 제대로 공부를 해본 적이 없다.  그저 '이걸 이렇게 버리는 게 맞나?' 같은 생각에 포털사이트에 검색이나 해보았을 뿐 종이 같으면 종이, 플라스틱 같으면 플라스틱 그리고 일반쓰레기 같으면 일반쓰레기처럼 내 생각대로 쓰레기를 분류해 왔다.

 

Blisgo라는 사이트의 메인 화면에는 내가 분리수거를 하고 싶어 하는 쓰레기를 검색할 수 있었다.

 

쓰레기를 검색하는 사이트라니 매우 신선했다. 대학교 수업 때 업사이클링, 리사이클링, esg 등등에 대해 배웠고 실제로 업사이클링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했던 적이 있었다. 하지만 학교 측에서 우리 학교의 쓰레기 배출 등에 대한 통계나 정보는 공개할 수 없다고 하여 의미 있는 수치를 얻을 수 없을 것 같아 흐지부지 되었던 기억이 있다. 

 

이 사이트를 접하고 나는 후회했다. 상술한 프로젝트를 할 때 나는 틀에 박혀있었다. 그저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결과론적인 것에 집착하였고 그 결과라는 것은 쓰레기를 줄였다는 수치 밖에 없다고 생각했다.  하지만 이 사이트에는 내가 생각한 방식이 아닌 전혀 다른 방식으로 결과를 내고 있었다. 트래픽, 방문자 수라는 의미 있는 수치, 방문자 수를 통해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켰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것까지 모든 것이 완벽했다.

 

이렇게 내게 깨달음을 줬던 사이트를 소개하겠다.

검색창

사이트의 메인 화면에는 쓰레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있다. 

 

(업데이트된 쓰레기 사진)

업데이트

최근 업데이트 된 쓰레기라는 말은 되게 재미있었다.

Update와 쓰레기라는 단어는 언뜻 보면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. 하지만 두 어울리지 않는 단어가 묘하게 시너지를 일으켜 눈길을 확 사로잡는다.

 

인기

인기쓰레기 ㅋㅋ....

그 밑에는 쓰레기의 랭킹 시스템을 넣어 재미요소 또한 부여하였고, 사람들이 평소에 어떤 물건을 분리수거할 때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또한 알 수 있게 하였다(나와 같이 호기심이 많은 사람들은 하나하나 클릭해 보며 사이트에 더 오래 머무르게 되었을 것이다.)

 

쓰레기를 활용하는 가게, 캠페인, 커뮤니티 등을 소개하며 사이트의 메인은 끝이 난다.

 

 

 

이후에 나는 내 주변을 둘러보았다...

평소에 그냥 내가 쓰던 물건들도 언제든지 쓰레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주변사물을 다시 보게 되었다

첫 번째로 요즘 시즌에 없어서는 안 될 전기장판.... 이건 도대체 어떻게 버려야 할까... 그에 대한 답 또한 이곳에 있었다.

아.. 이렇게 큰 물건들은 보통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생활폐기물로 내보내야 되는구나...

몰랐다면 나는 신고도 하지 않고 그냥 버렸을 것이다..

 

그리고 인기검색어에 있었던.. 김치...?

 

김치

헐 몰랐지만 김치는.... 그냥 음식물쓰레기에 버리면 안 되는 거였다..!

군대에서 분명 그냥 버렸던 거 같은데 양념을 반드시 헹궈야 했구나...

 

커뮤니티 사이트를 제외하고 그냥 사이트는 원하는 정보만 얻고 바로 나가곤 했는데, 흥미로운 지식들을 알게 해 준 사이트였다. 그리고 내가 얼마나 분리수거를 잘못하고 있었는지, 분리수거를 왜 해야 하는지 까지 알 수 있게 해 준 사이트였던 것 같다.